컨텐츠 바로가기


  • 소설|비소설
  • 경제|경영|비지니스
  • 취미|실용
  • 건강
  • 종교
  • 여행
  • 기타

아토순의 기적 추천 New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제목 아토순의 기적
저자 이환용 지음
발행일 2016-01-26
페이지 208
ISBN번호 9791186172186
정가 12,500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책 소개>

비염치료제 청비환으로 유명한 코박사, 이환용 평강한의원장의

천연한방 피부 치료제 이야기

 

<출판사 서평>

탁월한 비염치료제로 이름이 알려진 청비환’. 약을 개발한 이환용 평강한의원장이 이번에는 피부염 치료제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옛 어른들이 사용한 약재인 유근피, 어성초 등 15가지 천연재료를 넣어 현대질병의 하나인 아토피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아토순은 미국식품의약국(FDA)에 등록을 마치고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한 로션으로 출시됐다.

이번 책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의학적 상식은 물론 아토순, 청비환 개발 과정에 얽힌 노력과 사례자들의 다양한 치료 사례를 담았다. 또 한의사로서 보고 겪은 다양한 에피소드와 한의학적 지식을 담은 건강칼럼을 실어 피부질환으로 고심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저자 소개>

이환용

이환용 원장은 충청남도 서산의 산골에서 태어나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과 역경 속에서 고학으로 동국대 한의대에 입학했다. 칠전팔기라는 말처럼 무려 일곱 번 낙방하고 여덟 번째에야 합격했다. “하나님께서 나와 함께하신다. 하나님은 결코 나를 포기하지 않으신다는 확고한 믿음이 그를 지탱하게 해주었다.

 

졸업 후 서울 강남에 평강한의원을 개원하고 경희대에서 한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본인과 자녀가 비염의 고통을 겪으면서 비염치료제 청비환을 만들었고 그 효험이 널리 알려지면서 수많은 사람이 치료를 받았고 회복되었다. 지금은 대한민국 최고의 비염전문 한의사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한의원 원장으로 인생의 전반을 살았다면, 2006년부터는 18만 평, ‘평강식물원의 원장으로 인생의 후반전에 그 열정을 다하고 있다. 그는 사랑의교회 장로로, 한국OM국제선교회 이사로 헌신하고 있다. 지은책으로는 포기하지 않으시는 하나님, 평강으로 가는 오솔길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 아토피 치료, 예방이 우선이다

1. 아토피란 무엇인가

2. 아토피 피부염의 일반적인 특징

3. 계절에 따른 아토피 증상과 대응법

4. 아동 아토피와 성인 아토피

 

2. 아토순의 탄생

1. 피부염 치료제 개발의 시작

2. 천연한방 아토피 치료제 아토(ATO)()’

3. 아토순으로 새 삶을 찾은 사람들

4. FDA 인증 받은 평강 아토순

 

3. 천연 성분으로 치료하는 현대질병

1. 평강의 대표 브랜드청비환

2. 청비환으로 가 시원해지다

3. 참느릅나무(코나무) 이야기

4.‘청비환으로 이룬 열매, 평강식물원

 

부록

한 눈에 보는 아토피 상식과 한방적 치료법

 

맺는 글

 

 

<책 속으로>

피부질환은 자칫 더 위중한 다른 부위의 질병이나 질환과 비교할 때 간과되거나 그 심각성이 축소될 수 있다. 하지만 몸의 모든 기관에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 없듯이 피부병은 우리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확률은 적지만 우리 삶이 얼마나 균형을 이루며 유지될 수 있느냐의 문제에서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p.63

 

“10대 여성 치료사레 : 저는 1년 전부터 건선으로 인해 피부가 가렵고 갈라지면서 진물이 나며 두껍게 변하면서 각질이 많이 생겼습니다. 아토순을 바르면서 처음에는 별 차도가 없는 것 같았는데 3개월 꾸준히 바르다 보니 진물도 없어지고 두꺼웠던 피부도 깨끗해지고 100일 쯤 돼서는 완전히 깨끗하게 좋아셨습니다.” -p.95

 

"우리 선조들도 코질환에 참느릅나무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이나 약성초 같은 한의약서에도 이 참느릅나무 껍질인 유근피가 염증, , 분비물을 없애는데 효능이 뛰어나다고 전해지고 있다. 유근피는 소염작용이 탁월해 종창약으로도 쓰이는데 종창에 유근피를 날것으로 붙이거나 말린 것을 가루로 복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p.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