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 소설|비소설
  • 경제|경영|비지니스
  • 취미|실용
  • 건강
  • 종교
  • 여행
  • 기타

녹색도시지수 추천 New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제목 녹색도시지수
저자 성균관대학교 녹색도시건축연구센터
발행일 2014-09-30
페이지 184
ISBN번호 9788993484977
정가 15,000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에도 적용할 수 있는 녹색도시지수

 

최종 도출된 핵심지표는 ‘1인당 에너지 소비량’, ‘2차산업 비중’, ‘1인당 자동차 보유대수’, ‘도시화율’, ‘1인당 지역내 총 생산의 총 다섯가지이다. 전 세계 모든 도시에 적용 가능한(Universal) 다섯 개의 핵심지표와, 추가적으로 선정한 국내 사정에 적합한(Local)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국내 16개 광역지자체의 탄소배출 현황과 원인에 대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녹색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실천 목표는 화석에너지 사용 절감과 탄소저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목표실천을 위한 평가수단으로서 지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녹색도시지수는 선진국 중심으로 개발되어 현재의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앞으로 특히 많은 도시화 수요가 예상되는 저개발국가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모든 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쉽고 범용성 높은 새로운 녹색도시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녹색도시지수는 탄소발생의 대표적 원인이 되는 요소들로서 쉽게 기초자료(Data)를 확보할 수 있어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과 저개발국에도 적용이 용이하고, 도시의 현상을 리트머스시험지와 같이 쉽게 알 수 있고 진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근거로 녹색도시를 각 도시의 여건에 적정하고 능력에 맞게(appropriateness & affordability) 조성하기 위한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컨대 경제적으로 취약하고 기술력과 경제적 능력이 부족한 도시에는 라이프스트로우(Life Straw) 역할부터 경제적 능력이 있고 기술력이 풍부한 도시에는 그에 적합한 방향까지 넓은 스펙트럼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경제적 여건 및 산업과 탄소발생의 관계를 통해 탄소를 발생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누려온 도시나 국가의 도덕적 책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도시의 여건과 특성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 즉, 탄소저감을 실현하기 위한 도시의 실천방향을 달리해야 하며, 지수를 활용한 도시의 현황을 파악함에 있어서도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국내 도시에 녹색도시지수를 선()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특히 저개발국가에 확대 적용해 나감으로써 녹색도시지수의 적용가능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다.

녹색도시지수의 핵심지표는 도시의 탄소배출과 원인을 중심으로 도출되었다. 도시에서 탄소배출의 가장 큰 원인은 산업, 교통, 건물 분야의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나타났다. 지표는 각각 발생요인에 대한 주요원인을 대표하고 다른 전문항목들과의 관계성이 높은 대표적 항목으로서, OECD 환경지표를 기반으로 국내외 개발·발표된 지표들의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다. 특히, 적용의 범용성과 기초자료(Data) 확보의 용이성, 그리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평균이 좋아지면 녹색도시 여건이 개선되는 선순환적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하여 평균보다 못한 도시들의 개선을 강조하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최종 도출된 핵심지표는 ‘1인당 에너지 소비량’, ‘2차산업 비중’, ‘1인당 자동차 보유대수’, ‘도시화율’, ‘1인당 지역내 총 생산의 총 다섯 가지이다. 전 세계 모든 도시에 적용이 가능한(Universal) 다섯 개의 핵심지표와, 추가적으로 선정한 국내사정에 적합한(Local)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국내 16개 광역지자체의 탄소배출 현황과 원인에 대해 일반인도 쉽게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탄소배출량과 지표별 결과에 따라 국내평균과 비교하여 도시의 우열을 가렸으며, 순위를 결정하였다. 지표의 결과로 도시별 탄소배출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지자체는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탄소저감을 실천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지표결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차례>

 

서문

 

1. 기후변화와 도시

1.1. 기후변화의 원인

1.2. 도시의 시대’,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도시

1.3. 녹색도시의 실현

 

2. 녹색도시지수

2.1. 녹색도시지수의 필요성

2.2. 산업과 탄소배출량, 도시의 경제적 여건으로서 GDP

2.3. 지수개발의 목표 및 원칙

 

3. 지표의 도출 및 활용 방법

3.1. 핵심지표(Key Indicator)의 도출

3.2. 지표의 활용 방법

3.3. 지표의 적용 대상

 

4. 지표 종합 결과

4.1. 탄소배출량

4.2. 핵심지표(Key Indicator) 결과

4.2.1. 1인당 에너지 소비량(TOE)

4.2.2. 2차산업 비중

4.2.3. 1인당 자동차 보유대수

4.2.4. 도시화율

4.2.5.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

4.3. 보조지표(Sub Indicator) 결과

4.3.1. 1인당 전력 소비량

4.3.2. 신재생에너지 비율

4.3.3. 대중교통 수송 분담

4.3.4. 녹지율

4.3.5. 1인당 폐기물 발생량

4.4. 7개 광역도시 비교

4.4.1. 탄소배출량

4.4.2. 핵심지표 및 보조지표 비교 분석

 

5. 도시별 결과

5.1. 서울

5.2. 부산

5.3. 대구

5.4. 인천

5.5. 광주

5.6. 대전

5.7. 울산

5.8. 경기

5.9. 강원

5.10. 충북

5.11. 충남

5.12. 전북

5.13. 전남

5.14. 경북

5.15. 경남

5.16. 제주

 

자료출처